알파갈 증후군
알레르기 항원 정보, 증상, 치료


붉은색 육류 알레르기, 진드기 물림에 의한 알레르기라고도 하는 알파갈 증후군(AGS)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알레르기로, 붉은색 육류 및 포유류로 만든 기타 제품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납니다.1,2 알파갈에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는 대부분 수년간 붉은색 육류에 내성이 있다가 진드기에 물리면서 민감성이 발생합니다.3 따라서 이 질환은 보통 진드기에 물린 후 알파갈(대부분의 포유류에서 발견되는 당 분자)이 전파되었을 때 발생합니다.2 이 성분이 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후 노출 시 붉은색 육류, 내장육, 포유류로 만든 기타 음식을 먹은 후 경증에서 중증의 반응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2,4

알파갈 증후군의 유병률은 증가하는 추세이며 여러 가지 진드기 종이 관련되어 있습니다.3 한 연구에 따르면, 스톡홀름 지역의 건강한 혈액 기증자 143명 중 10%가 알파갈에 대한 면역글로불린 E(IgE)(면역 체계 반응과 관련된 항체)를 가지고 있습니다.5,6 덴마크와 스페인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6

알파갈은 어디에서 발견됩니까?

알파갈 반응은 일반적으로 붉은색 육류(예: 소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토끼, 말, 염소, 사슴고기, 곰)와 내장육(예: 창자, 심장, 간, 신장) 및 포유류로 만든 기타 식품을 먹었을 때 발생합니다.2,4 이 외에도 알파갈 증후군 환자에게 위험할 수 있는 식품에는 수프-스톡 큐브, 그레이비 소스 패키지, 포장 식품의 조미료 성분, 맛을 낼 때 사용하는 육류 추출물, 유제품(예: 우유, 치즈, 요거트, 버터), 통조림 참치(돌고래 또는 고래에 의해 오염될 수 있음), 붉은색 육류로 오염된 그릴에서 요리한 닭고기 또는 생선, 돼지 내장을 사용한 소시지 껍질, 돼지고기 지방(조리에 사용되며 패스트리와 사슴고기 버거에 자주 사용됨) 및 쇠기름이 있습니다.4,8 한편, 물고기, 파충류, 조류는 일반적으로 알파갈을 포함하지 않습니다.1

젤라틴은 일반적으로 대형 포유류의 발굽이나 피부의 콜라겐에서 유래하므로 역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붉은색 육류에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는 대부분 젤리(구미라고도 함), 마시멜로, 젤로 등의 주요 성분인 젤라틴에 민감합니다.4,10 드물지만, 사례 보고서에 따르면 샴푸, 콜라겐 보형물, 창자실 봉합, 콜라겐 유도 콘택트 렌즈와 같은 제품에 의해서도 젤라틴에 대한 국소 또는 경구 반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젤라틴은 정제, 캡슐, 좌약, 과자에 사용되는 결합제로서의 위험성도 있습니다.10 알파갈 증후군과 관련된 항체가 있는 경우에는 암 치료제인 세툭시맙에 반응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2

젤라틴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비식품 공급원에는 일부 형태의 단클론 항체, 백신, 혈관 확장제로 사용되는 젤라틴, 효소 교체물, 소 또는 돼지 심장 판막, 해독제, 헤파린(즉, 돼지 내장에서 유래한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스테아르산 및/또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예: 아세트아미노펜, 옥시코돈, 라이시노프릴, 옥시콘틴) 등이 있습니다.4

의료인과 함께 다음 방문을 준비하십시오. 

증상 추적기를 작성하십시오.

특이 IgE 검사에 대해 알아보기

더 읽어보기

모든 형태의 알파갈을 피해야 합니까?

고온에서 고기를 조리해도 일부 붉은색 육류 단백질의 알레르기성을 파괴하지 못하고, 심지어 소량의 붉은색 고기도 심각한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7,8

알레르기 관리 방법

전문의는 다음과 같은 관리 방법을 추천할 것입니다. 1,2,4,8,11,12

  • 붉은색 육류와 내장을 먹지 말아야 합니다. 약 80%의 사례에서 이렇게 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치료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환자 중 최대 20%는 유제품과 젤라틴까지도 피해야 합니다. 포유류에서 유래한 많은 제품을 계속해서 조심해야 하는 환자는 1% 미만입니다.
  • 식품 포장에 있는 성분표를 통해 육류(내장육, 젤라틴, 소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등)를 사용한 재료나 붉은색 육류가 포함되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 알레르기 전문의에게 피해야 할 음식을 문의합니다.
  • 외식을 하거나 모임에서 식사할 때는 각별히 주의합니다.
  • 수풀이 우거지고 풀이 길게 자라 진드기가 많은 장소는 피합니다.
  • 의류와 장비를 퍼메트린으로 처리하거나 사전 처리된 의류를 구입해서 사용합니다.
  • DEET이 20% 이상 농축된 방충제를 피부에 바릅니다. 이러한 방충제에는 독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지침을 주의 깊게 따릅니다.
  • 진드기가 많은 곳에 갈 때는 신발을 신고, 긴 바지를 양말 안에 넣고, 긴팔 셔츠를 입고, 모자와 장갑을 착용합니다.
  • 마당이나 정원에 털과 나뭇잎이 없게 하고 장작더미는 그늘이 없이 해가 잘 드는 곳에 두어 진드기가 발생하지 않게 합니다.
  • 진드기가 많은 곳에서 나들이 후에는 집에 들어가기 전에 애완동물, 의류, 자녀에게 진드기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 실내에 들어오는 즉시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샤워를 하면 아직 들러붙지 않은 진드기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진드기가 들러붙었으면 가능한 한 빨리 모두 제거합니다. 핀셋을 사용하여 진드기 머리 근처를 조심스럽게 잡고, 누르지 않은 상태로 조심스럽고 안정적으로 빼냅니다. 진드기를 없애고 소독제를 바릅니다.

담당 전문의는 알레르기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 다음 약물 중 하나를 사용하도록 안내할 수 있습니다.

  • 가려움증을 해결하기 위한 항히스타민제.
  • 혈관부종(피부 아래가 부어오름)을 동반한 종창 완화하는 경구용 스테로이드.

함께 있는 사람이 알레르기 반응과 쇼크 징후를 보인다면 신속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맥박이 약하고 빠르게 뛰는지, 호흡곤란이 있는지, 피부가 차갑고 축축하며 창백한지, 착란이 있는지, 의식이 흐려지는지 확인하십시오. 즉각 취해야 할 조치:

  • 현지 응급 구조대에 전화하십시오.
  • 환자가 다리를 위로 올리고 누워 있는지 확인합니다.
  • 아나필락시스의 분명한 징후가 있으면 즉시 에피네프린을 투여하십시오.
  • 해당 환자의 맥박과 호흡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CPR 또는 기타 응급 조치를 실시하십시오.

알레르기 관련 정보와 관리 방법에 대한 조언이 필요하십니까?

"알레르기를 가지고 살기" 섹션을 확인해보십시오.

주요 증상

붉은색 육류를 먹은 후 최소 2시간 동안 알파갈증후군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3~5시간 혹은 그 이후에 여러 가지 반응이 나타납니다. 그러나 많은 경우 증상을 보이지 않으며, 또 증상이 나타난다 해도 붉은색 육류에 노출될 때마다 매번 그러는 것도 아닙니다.7 민감성을 갖게 된 사람이 알파갈을 보유한 진드기에 물리지 않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상이 감소하거나 심지어 사라질 수도 있습니다.8

알파갈 증후군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2

  • 입술, 얼굴, 목, 혀 등 다양한 신체 부위의 종창
  • 피부 두드러기 및 가려움, 벗겨짐
  • 쌕쌕거림 또는 숨가쁨
  • 콧물, 재채기
  • 복통, 설사, 구토, 구역
  • 두통

또한 알파갈증후군은 아나필락시스를 유발할 수 있으며, 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2,9

  • 기도 수축, 혀 또는 목의 종창, 쌕쌕거림 또는 숨가쁨
  • 어지러움, 실신
  • 구역, 구토, 설사
  • 가려움, 두드러기, 빨갛거나 창백한 피부 등의 피부 반응
  • 저혈압
  • 약하고 빠른 맥박

알레르기가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알파갈 증후군을 진단할 때 돼지고기 또는 소고기 추출물을 사용한 피부단자검사는 신뢰할 수 없습니다. 여러 식품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피내반응검사가 유용할 수 있지만 실제로 이 검사를 하는 병원은 거의 없습니다. 대부분의 알레르기 전문의는 IgE에 대한 혈액 검사를 통해 알파갈을 식별합니다.4

증상 병력과 함께 특이 IgE 혈액 검사가 특정 알레르기 항원에 감작하는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진단을 받은 경우 전문의와 상담하여 관리 계획을 세워보세요.

해당 제품은 특정 국가에서 임상 용도로 사용이 승인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의료인과 협력하여 검사 가능 여부를 파악하십시오.

심각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까?

알파갈 증후군에 대한 임상 증상 스펙트럼에는 개인의 60%까지 아나필락시스가 포함됩니다.11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면 에피네프린을 응급 주사하고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알파갈 증후군 진단이 내려진 환자에게는 의사 또는 알레르기 전문의가 에피네프린 자동주사기를 처방할 것입니다.8

  1. Alpha-gal Allergy [인터넷].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 2020 Oct 6. 제공: https://www.cdc.gov/ticks/alpha-gal/index.html.
  2. Mayo Clinic [Internet]. Rochester, MN: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2020 Nov 19. 제공: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alpha-gal-syndrome/symptoms-causes/syc-20428608.
  3. De la Fuente J, Pacheco I, Villar M, Cabezas-Cruz A. The alpha-Gal syndrome: new insights into the tick-host conflict and cooperation. Parasite Vectors. 2019 Apr 3;12(1):154. doi: 10.1186/s13071-019-3413-z. PMID: 30944017, PMCID: PMC6448316.제공: https://parasitesandvectors.biomedcentral.com/track/pdf/10.1186/s13071-019-3413-z.pdf.
  4. Platts-Mills TAE, Li RC, Keshavarz B, Smith AR, Wilson JM.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the α-Gal Syndrome. J Allergy Clin Immunol Pract. 2020 Jan;8(1):15-23.e1. doi: 10.1016/j.jaip.2019.09.017. Epub 2019 Sep 28. PMID: 31568928, PMCID: PMC6980324. 제공: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980324/pdf/nihms-1060828.pdf.
  5. American Academy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https://www.aaaai.org/conditions-and-treatments/library/allergy-library/outdoor-allergies-and-food-allergies-can-be-relate. Milwaukee, WI: American Academy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2021. 제공: https://www.aaaai.org/Tools-for-the-Public/Allergy,-Asthma-Immunology-Glossary/Immunoglobulin-E-(IgE)-Defined#:~:text=Share%20this%20page%3A,chemicals%2C%20causing%20an%20allergic%20reaction.
  6. Apostolovic D, Tran TA, Starkhammar M, Sánchez-Vidaurre S, Hamsten C, Van Hage M. The red meat allergy syndrome in Sweden. Allergo J Int. 2016;25(2):49-54. doi: 10.1007/s40629-016-0098-0. Epub 2016 Jan 23. PMID: 27656352, PMCID: PMC5016537. 제공: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016537/pdf/40629_2016_Article_98.pdf.
  7. Steinke JW, Platts-Mills TA, Commins SP. The alpha-gal story: lessons learned from connecting the dots. J Allergy Clin Immunol. 2015;135(3):589‐597. doi:10.1016/j.jaci.2014.12.1947. 제공: https://www.jacionline.org/action/showPdf?pii=S0091-6749%2815%2900076-7.
  8. Mayo Clinic 2 [인터넷]. Rochester, MN: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2020 Nov 19. 제공: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alpha-gal-syndrome/diagnosis-treatment/drc-20428705.
  9. Mayo Clinic Anaphylaxis 2 [인터넷]. Rochester, MN: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MFMER); 2019-2017. http://www.mayoclinic.org/first-aid/first-aid-insect-bites/basics/art-20056593. 제공: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anaphylaxis/symptoms-causes/syc-20351468.
  10. Mullins RJ, James H, Platts-Mills TA, Commins S. The relationship between red meat allergy and sensitization to gelatin and galactose-alpha-1,3-galactose. J Allergy Clin Immunol. 2012 May;129(5):1334-42. 제공: https://www.jacionline.org/action/showPdf?pii=S0091-6749%2812%2900368-5.
  11. Van Nunen S. Galactose-alpha-1, 3-galactose, mammalian meat and anaphylaxis: a world- wide phenomenon? Curr Treat Options Allergy. 2014, 1(3):262-77. 제공: https://link.springer.com/content/pdf/10.1007/s40521-014-0022-0.pdf.
  12. Mayo Clinic [인터넷] (Mayo Anaphylaxis). Rochester, MN: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MFMER); 2019-2017. http://www.mayoclinic.org/first-aid/first-aid-insect-bites/basics/art-20056593. 제공: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anaphylaxis/diagnosis-treatment/drc-20351474.